SK하이닉스는 업계 최고층인 176단 512Gb(기가비트)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 제품을 솔루션화하기 위해 지난달 컨트롤러 업체에 샘플을 제공했다.

SK하이닉스는 내년 중순 최대 읽기 속도 약 70%, 최대 쓰기 속도 약 35%가 향상된 모바일 솔루션 제품을 시작으로 소비자용 SSD와 기업용 SSD를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한 176단 낸드는 3세대 4D 제품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웨이퍼 당 생산 칩 수를 확보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를 통해 비트 생산성은 이전 세대보다 35% 이상 향상돼 차별화된 원가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

또 2분할 셀 영역 선택 기술을 새롭게 적용해 셀(Cell)에서의 읽기 속도는 이전 세대 보다 20% 빨라졌다. 또한 공정 수 증가 없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도 적용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33% 개선된 1.6Gbps를 구현했다.

SK하이닉스가 개발한 176단 낸드플래시. /SK하이닉스 

4D 낸드플래시란

SK하이닉스는 96단 낸드플래시부터 CTF(Charge Trap Flash)와 고집적 PUC(Peri Under Cell) 기술을 결합한 낸드플래시 기술을 '4D 낸드'라고 명명하고 있다. 

낸드플래시는 2차원 구조에서는 FG(플로팅게이트) 기술을 썼다. FG는 도체인 FG(①)에 전하를 가두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FG 소재로는 폴리 실리콘이 쓰이는데, 미세화로 FG가 얇아면서 전자가 누설돼 셀 간 간섭 현상(Cross talk)이 나타났다.

이에 대응해 나온 게 CTF다. 전하를 부도체(②)에 저장해 셀간 간섭 문제를 해결한 기술로, 플로팅게이트 기술보다 단위당 셀 면적을 줄이면서도 읽기, 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3D 낸드 업체는 CTF를 채용 중이다.

CTF는 전하를 저장하는 트랩과 컨트롤 게이트를 90도로 돌려 층층이 쌓은 구조다. 제조할 때는 한층 한층을 쌓은 다음 한번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전하를 가둔다. 

FG 기술과 CTF 기술 변화. /삼성전자

PUC는 주변부 회로(Perl.)를 셀의 하단에 배치해 생산 생산 효율과 성능 향상을 꾀하는 기술이다. 회로를 하단에 배치하면 웨이퍼 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지고, 그만큼 웨이퍼당 낸드플래시 생산량이 늘어난다. 또 회로와 낸드간 거리가 가까워 신호 전달 속도도 높일 수 있다. 이는 곧 성능 향상으로 이어진다. 

 

층수 높을수록 기술적 구현 어려워

낸드플래시는 층수가 높아지면 셀 내부의 전류가 감소해 저장 기능이 떨어지거나, 층간 비틀림, 상하 적층 정렬 불량(Stack misalignment)에 따른 셀 분포 열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어려움을 △셀 층간 높이 감소 기술 △층별 변동 타이밍(Timing) 제어 기술 △초정밀 정렬(alignment) 보정 등 혁신적인 기술로 극복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 176단 4D 낸드 기반으로 용량을 2배 높인 1Tb(테라비트) 제품을 연속적으로 개발해 낸드플래시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최정달 SK하이닉스 낸드개발 담당은 “낸드플래시 업계는 집적도 향상과 생산성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SK하이닉스는 4D 낸드의 개척자로서 업계 최고의 생산성과 기술력으로 낸드플래시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2020년 4318억GB인 낸드플래시 시장이 2024년에는 1조3662억GB로 확대돼 연평균 33.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층고가 높아지면서 생기는 난제 해결 기술 

◇2분할 셀 영역 선택 기술

낸드플래시 회로에서 워드라인(Word Line)은 셀(Cell)에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적층수가 높아질수록 셀의 층고를 낮추기 위해 워드라인도 얇게 구현하는데, 이때 워드라인에 인가되는 저항이 커지면 속도에 영향을 받게된다. 워드라인에 연결된 셀을 기존 대비 절반으로 분할해 저항을 낮춤에 따라 전압인가 시간을 단축하고 읽기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낸드플래시의 비트라인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라인이고, 워드라인은 실제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에 사용되는 라인이다. 디지털 데이터는 (0, 1) 이진수로 저장되는데, 이 데이터를 각각의 셀에 저장해 놓고 그것을 읽어오고, 쓰고, 삭제하는 것을 이 비트라인과 워드라인을 제어함으로써 한다.

 

◇셀(Cell) 층간 높이 감소 기술

적층 수가 높아지면 셀 형성을 위한 구멍을 뚫기 어려워지고, 저항 증가 및 전류 감소로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층간 높이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필요하지만 높이가 얇아지면서 셀간 간섭이 심해지고 공정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셀 층간 높이 감소 기술은 층간 높이를 낮추면서도 성능과 신뢰성의 열화를 억제하는 공정과 설계 기술이다. 

 

◇층별 변동 타이밍 제어

적층 수는 높이고 층고를 낮추다 보면 박막 소재들이 허물어지는 등 층간 비틀림 현상이 증가한다. 더불어 셀 산포 열화가 많아진다. 이러한 공정 열화로 각 층별 성능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SK하이닉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층별 특성에 따라 가하는 전압의 양과 시간을 조절해 셀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을 적용했다. 

 

◇초정밀 정렬(alignment) 보정 기술

최근 낸드플래시는 소재를 웨이퍼 위에 쌓은 다음 한번에 구멍을 뚫어 전하를 저장할 트랩을 만드는 기술을 쓴다. 업계에서는 적층 수가 높아짐에 따라 셀 형성을 위한 구멍을 한번에 뚫을 수가 없어 두 번에 걸쳐 뚫는 더블 스택(Double Stack) 공정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상하부 간 어긋남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블 스택 기술의 핵심이다. 상하부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으면 상하부 간 전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열화 현상도 발생해 수율, 성능, 신뢰성이 감소한다. SK하이닉스는 2017년 72단 제품부터 적용해온 더블 스택 기술을 이번 176단 제품에도 적용했으며 그간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공정 상 정렬 불일치(misalignment)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구멍의 위치와 크기를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기술을 고도화 했다.

저작권자 © 파이브에코(FIVE ECO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